- 기동빈도는 부하기계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입니다.
- 기동에 따른 온도상승이 중요한 변수인데, Pump의 경우는 기동시간이 짧아 기동빈도가 특별이 문제가 적지만 Fan의 경우는 기동시간이 길어 3 cold / 2hot이 매우 어려워 정밀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Limiting of starting frequency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motor is capable of
a)Tree consecutive starts from *cold condition
Or
b)Two start from *hot conditon, and one or two consecutive starts is recommended.
Must not start more than specified
c)Five starts in a day, but consecutive starts is limited to following fig.★
because the motor need approxim ately one hour stalled time to restart.
* Cold conditin : the motor is ambient temperature.
* Hot condition : the motor is running with load more than approximately 2hours.
1. 진동과 소음 발생원인
가. 공진
나. 축 임계속도
다. Core 주파수
라. Gap 불평형
마. FAN
바. 전류 불평형량
2. 진동과 소음 대책
가. 제품의 강성 증대
나. 정밀 바란싱
다. 전자계 해석을 통한 자계음 방지
라. 통풍구조의 개선
마.팬 형상 및 구조 해석으로 통풍음 방지
바. 가공,조립,운전상태에서의 변형 예측 및 개선
- Motor의 Bearing선정은 국제 표준으로 생산되는 Anti-friction bearing 사용을 표준으로 한다.
- 각 Bearing Type에 따른 허용 Speed, 수명, Size등을 고려하여 Bearing 종류와 size를 윤활방법을 선정한다.
- 고객요구사항 또는 Anti-friction 범위로 불가능 시 sleeve bearing 또는 Tiling pads bearing을 적용한다.
분진방폭구조 (방호장치 의무안전인증 고시 노동부고시 제2008 - 76 호 참조)
“분진(dust)”이란 대기 중에 부유하는 섬유와 솜털 등을 포함하여, 일정기간 공기 중에 떠 있다가 자중에 의해 침적(沈積)되는 고체입자를 말한다.
“보통방진용기(dust-protected enclosure)”란 분진의 침투를 완전히 방지할 수는 없으나 장비의 안전운전을 저해할 정도의 양이 침투할 수 없는 구조의 용기를 말하며, 용기내의 점화위험이 있는 부위에 분진이 축적되지 않아야 한다.
- 최고허용 표면온도 제한
- 정체 및 풀림 방지 : 전기기기를 구성하는 용기에 정체 구조 및 풀림방지를 실시.
- 단자함 내에 절연공간거리 및 연면거리 확보.
- 접지단자 설치.
- 방진성능이 회전접촉 밀폐부에만 의존해서는 안되며, O-ring 또는 라비린스 구조 등의 추가적인 밀폐조치
- 회전전기기기의 외부팬 환기구의 보호등급(IP)은 공기 흡기측은 IP20 이상,배기측은 IP10 이상 일 것
- 필요한 경우 KS C IEC 61241-1(Electri cal apparatus for use in the presence of combustible gas)
“KS C IEC 61241-1 : 용기 분진방폭구조 tD 를 참조할 수 있다.
- KS C IEC 61241-0(Electrical apparatus for use in the presence of combustible gas)에서 인용한 관련규격을 적용 할수 있다.
- 현재 쉴드 베어링(ZZ TYPE)은 180FR. ( 30KW2P/30KW4P/22KW6P/15KW80_50/60Hz)이하까지 당사 표준 제품으로 적용되어 있습니다.
- 고객 요청 시 80Fr (0.4KW 2/4/6_50/60Hz)부터 그리스 재 주입타입의 Open type 베어링 적용 가능합니다. (비용 추가)
간혹 일부 컴퓨터에서 datasheet pdf 파일이 열리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때는 당황하지 마시고 아래와 같이 한번 해보시기 바랍니다.
먼저 컴퓨터에 실행되고 있는 Acrobat Reader 의 Version 을 확인하십시요.
Acrobat Reader Version 4.0 이상을 가지고 계셔야 모든 pdf 파일을 보실수 있습니다.
따라서 Version 이 낮다면 Acrobat 8.1 을 다운 받으시기 바랍니다.
Version 이 4.0 이상이고 잘쓰다가 갑자기 열리지 않습니까?
이때는 아래와 같이 internet Explorer 설정을 변경해 주시기 바랍니다.
(1) 먼저 Microsoft Internet Explorer 의 [도구]메뉴 아래 [인터넷 옵션]으로 들어가십시요.
그러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뜨게 됩니다.
(2) 이 창에서 [고급] 아래의 [탐색]으로 가십시요.
(3) 아래에 보이는 것 처럼 "URL을 항상 UTF-8로 보냄(다시 시작해야 함)" 에 Check 를 없애 주십시오.
(4) 창을 닫고 다시 실행하신 후 datasheet 파일을 열어 보시기 바랍니다.
- 일반Motor와는 차이점은 Inverter Spike Voltage에 견딜 수 있도록 Motor 절연강화, 축절연, Motor의 Critical Speed 고려, 운전특성에 맞는 냉각방법 선택 등이 있습니다.
- 일반 모터 대비 VSD Motor의 가격은 부하기기의 운전조건에 따라 차이가 많이 납니다. Pump와 Fan의 경우는 약 10~20% 정도 비쌉니다.
- 저압 전동기의 경우, 부하기기의 운전조건에 따라 타력 통풍 구조로 제작하여 회전수에 따른 냉각 효과 차이를 커버 하기도 합니다.
▶ 운전 전 점검사항
1. 전압, 주파수는 명판기재와 같은가?
→ 판단기준: KSC 4202에 따라 명판에 기재된 값을 기준으로 전압은 ±5%, 주파수는 ±2% 이내일 것
2. 결선은 명판에 표기된 내용과 동일한가?
→ 판단기준: 회전방향이 사양치와 동일하고, 무부하 전류가 사양치와 유사할 것
3. 주위온도, 습도는 사양치 이하의 조건인가?
→ 판단기준: 전동기가 설치된 환경의 주위온도, 습도를 측정하여 사양치 이하인지 확인할 것 (별도의 사양서가 없을 경우 주위온도 40°C 이하, 상대습도 80%이하)
4. 축을 손으로 돌릴 때 원활히 돌아가는가?
→ 판단기준: 축을 손으로 돌릴 경우 금속간(축/브래킷 축인출 부, 회전자 외경/고정자 내경) 마찰, Fan과 Hood와의 마찰 없이 회전해야 함.
5. 벨트연결의 경우 벨트사양과 장력은 적정한가?
→ 판단기준: 축 경이 KS기준보다 작거나, 출력에 비해 프레임 크기가 Downsizing 되었을 경우 장력측정기를 통해 벨트장력을 측정 후 설계팀에 정보를 공유하여 베어링 수명, 축의 안전률을 검토 받아야 함.
6. 직결의 경우 전동기와 부하기의 축 중심이 일치하는가?
→ 판단기준: 전동기 축과 부하기 축을 커플링으로 연결하여 손으로 돌렸을 때 비틀림 회전이 없어야 함.
7. 접지는 전기안전기준에 적합한가?
→ 판단기준: 400V이하 저압기기의 외함은 제3종접지, 400V초과 저압기기의 외함은 특별 제3종접지를 기본으로 함.
8. 조임볼트는 충분히 조여 있는가?
→ 판단기준: 전동기 조립부(프레임+브래킷, 단자박스+카바, Hood 조립볼트)의 볼트를 적합한 공구로 조여, 풀려진 볼트가 없는지 확인이 필요함.
▶ 운전 중 확인사항
1. 전동기 회전 방향은 기계에서 필요한 방향과 같은가?
→ 판단기준: 초기 기동시 회전방향을 확인하여 기계에서 필요한 방향으로 운전이 되는지 확인이 필요함.
2. 베어링부의 이상소음은 없는가?
→ 판단기준: 부하기 부착 후 운전시 베어링의 이상소음이 없는지 확인이 필요함. 이상소음 발생시 전동기와 부하기의 축정렬 상태를 확인하고 이상이 없을 경우 전동기 단독으로 무부하 운전을 하여 베어링의 이상소음 유무를 확인함.
3. 부하전류는 명판에 기재된 전류와 과부하율 이하로 투입 되는가?
→ 판단기준: 운전중인 전동기의 전류를 전류측정기로 측정하여 명판에 기재된 정격전류 이하인지 확인이 필요함. Service Factor가 1.15인 전동기일 경우 간헐적인 전류의 상승이 정격전류의 1.15배를 넘지 않는지 확인이 필요함.
4. 부하의 언발란스, 미스얼라이먼트에 의한 진동은 평가 하였는가?
→ 판단기준: 전동기 설치 후 전동기는 ISO 10816-3 의 베어링 진동 규격을 만족하여 운전되어야 한다. 시운전 시 부하/반후하측 브래킷, 프레임 Foot의 수평, 수직, 축방향 진속을 측정하여 규격 만족 여부를 확인함.
소음도는 KS C 4202의 소음시험의 방법에 따라 시험했을 때 아래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전동기의 소음도 | 단위 : dB(A) | |||||||
정격출력 | 보호형 | 전폐형 | ||||||
2극 | 4극 | 6극 | 8극 | 2극 | 4극 | 6극 | 8극 | |
0.2 | - | - | - | - | 66 | 59 | - | - |
0.4 | - | - | - | - | 69 | 61 | 60 | 60 |
0.75 | 63 | 58 | 58 | 57 | 73 | 63 | 61 | 60 |
1.5 | 67 | 58 | 58 | 57 | 75 | 67 | 61 | 61 |
2.2 | 68 | 62 | 60 | 59 | 77 | 68 | 63 | 62 |
3.7 | 71 | 65 | 62 | 60 | 80 | 72 | 65 | 64 |
5.5 | 75 | 67 | 64 | 63 | 83 | 74 | 68 | 67 |
7.5 | 76 | 69 | 67 | 66 | 84 | 77 | 70 | 69 |
11 | 78 | 72 | 69 | 67 | 87 | 78 | 72 | 71 |
15 | 80 | 74 | 72 | 71 | 87 | 82 | 74 | 72 |
18.5 | 82 | 76 | 74 | 73 | 90 | 82 | 77 | 76 |
22 | 86 | 76 | 74 | 73 | 90 | 82 | 79 | 77 |
30 | 88 | 79 | 77 | 75 | 91 | 84 | 81 | 77 |
37 | 88 | 79 | 77 | 75 | 91 | 85 | 81 | 77 |
45 | 90 | 82 | 80 | 76 | 93 | 86 | 83 | 79 |
55 | 90 | 82 | 80 | 76 | 93 | 86 | 85 | 79 |
75 | 92 | 85 | 82 | 79 | 94 | 89 | 85 | 82 |
90 | 92 | 85 | 82 | 79 | 94 |
- 단자박스 내부에 접지 Tap이 있으며, 전동기 프레임(본체)의 경우, 고객 Spec 혹은 별도 요청시 접지 단자를 부착합니다.
Q) 그리스 란?
A) 기유(오일)에 증주제를 혼합하여 반 고체의 스폰지 형태로 제작된 제품이며, 기유는 그리스의 85-90 %를 구성하고 증주제는약 10 %로 구성하며, 그리스의 특정 특성을 향상시
키기 위해 첨가제도 포함됩니다.
Q) 오일이 흘러 내려요.
A) 전동기를 장기간 보관하거나 방치하면 그리스에 포함된 오일이 빠져나오는 이유(oil separation) 현상이 발생되며, 전동기 기동전에 그리스를 운전 보충량의 1/2을 보충해서
운전해야 합니다. 또한 보관시에는 3개월마다 손으로 축을 10회 정도 회전해서 녹 발생 방지도 필요 합니다.
Q) 운전중인 전동기에 그리스 주입하는 방법은?
A) 운전중인 전동기에서 이음이 발생되면 그리스 건을 이용하여 상부의 그리스 니쁠에 “운전 중 충진량”의 1/4 만큼을 주입하고 이음이 사라지는 지 확인 합니다.
전동기가 정지 상태라면 먼저 “그리스 보충 주기”표의 운전중 보충량을 확인후에,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배유용 플러그를 풀어서 제거하시고, 그리스 건을 이용하여 그리스 니쁠
에 주입하시면 됩니다. 초기 시운전 중에는 베어링 이음이 발생될 수 있어 충진량의 1/2 만큼의 목표로 주입하면서 이음이 사라지는 지 확인 합니다.
Q) 그리스 주입량은 어떻게 확인 하나요?
A) 전동기에 부착된 “그리스 보충 주기” 명판(또는 스티커)의 베어링 번호와 극수(회전수)에 맞게 “보충간격”(시간)와 “운전중 충진량”을 확인하여 주입 하면 됩니다.
주입량은 육안으로 확인이 안되나 그리스 건으로 1회 주입하면 0.5g~1.0g정도 입니다.
Q) 그리스 주입형 전동기에 그리스 주입하여도 배출구로 배출이 안됩니다.
A) 그리스는 오일과 다르게 반고체 상태의 물질로 “점도”가 아니 “주도”라고 표현 합니다. 오일과 다르게 주입 후에 바로 배출이 되는 것이 아니고 3~10일 이상의 시간이 경과되
어야 배출되는데, 주입한 양 만큼 배출되지 않는 것은 그리스가 굳어서 출구를 막고 있거나 주입된 그리스가 축으로 나오는 경우 입니다. 이때는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으므로
전동기를 정지하고 그리스 제거와 배출구 청소를 하면 됩니다.
Q) 그리스 주입형은 어떤 제품인가요?
A) 효성 저압전동기 제품에는 그리스가 충진되어 있는 밀봉형(shield) 베어링과 그리스를 주입하는 개방형(open) 베어링이 있으며, 보통 30kW 이상의 전동기에서 개방형 베어링을 제작합니다. 또한 고객의 요구로 그 이하의 제품에서도 그리스를 주입하는 제품 생산이 가능합니다.
Q) 그리스 사양은?
A) 개방형 베어링에는 20년 10월 이후 생산품부터 Mobil의 Polyrex EM (청색) 제품으로 고온 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우레아계 증주제를 사용한 전동기 베어링용 제품 입니다. 이전 제품에는 shell GADUS 제품을 사용했습니다.
Q) 그리스 혼용 사용 가능한지요?
A) 그리스 혼용 시 다른 그리스의 화학적 반응으로 인해 윤활 성능이 저하되어 베어링 손상 및 사고발생 가능성이 높습니다. 만약 당사에서 추천하는 Grease가 없는 경우 동일 증주제에 해당하는 Grease를 사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당사 표준은 Mobil사에서 생산되는 Polyurea의 증주제가 첨가되어 있어, 제조사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타사 Grease를 사용할 경우 당사 기술부서 또는 윤활유 제조사에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